티스토리 뷰

겨울철 자동차 내부에 얼음이 낀다면? 성에 서리 등 포함

 

겨울에는 사람도 고생하지만 자동차도 참 많은 어려움을 인내해야 합니다.

 

연비도 떨어지고.. 예열도 늦게 되니 춥고..(?)

 

그리고 바깥 공기와 내부 공기 차이로 인한 서리, 성에 등등...

 

그런데 이 중에 또 하나가 바로 시동을 끈 후 다음날 아침

 

출근길에 우리를 맞이하는 내부 서리 입니다.

 

보통 자동차에 얼음이 생긴다면 밖에 생기는 게 일반적인데

 

내부 유리에도 생기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.

 

이게 의외로 많은 분들이 겪는 현상입니다.

 

얼지 않으면 그냥 물이 맺혀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.

 

특히 전면유리에 아주 심합니다.

 

왜 이러한 현상이 나는 걸까요? 그리고 예방법은?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우선 원인부터 봅시다.

 

1. 외부, 내부 온도차이가 심할 경우

 

2. 차 내부에 습도를 높이는 무언가가 있을 경우 (예: 젖은 걸레)

 

 

 

 

위의 두 경우 입니다.

 

겨울철에 히터를 켜고 다니면 차 내부는 온도가 후끈 올라갑니다.

 

그런데 여전히 외부는 춥지요.

 

그 상태로 시동을 그냥 끄고 바로 나와버리면.. 내부와 외부 기온차로 인해

 

자연스레 물방울이 맺히기 시작하고 생긴 물방울은 그냥 없어지는 게 아니고

 

잔뜩 흔적을 남기게 됩니다. 바로 어는 것이죠.

 

 

 

 

또한 우리가 겨울철에 유리창이나 내부를 닦기 위해 사용하는 걸레를 그냥

 

차 내부에 두게 되면 그로 인해 차량 습도가 쭉쭉 올라가서 유리에 물방울이 생깁니다.

 

이 경우도 결론적으로는 기온차로 인해 생기는 겁니다만, 원인 제공은 습도를 높인 걸레 탓입니다.

 

그럼 예방법은?

 

 

 

 

예방법

 

1. 차를 주차하기 직전에 잠깐 차 문을 열고 환기 시켜준다.

 

2. 차 내부에 습도를 높일만한 무언가를 절대로 두지 않는다.

 

 

 

 

이 정도가 됩니다.

 

차 내부는 가끔 창문을 열고 환기시키는 것이 운전자 건강에도 좋으므로

 

주차하기 전에 잠깐 창문을 다 열고 환기 시키는 게 좋습니다.

 

차량 내부 물방울 생성도 방지할 수 있고 말이죠.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미리 조심하면 차도 운전자도 편안하고 깔끔한 겨울을 보낼 수 있습니다.

 

운전하면서 가장 중요한 건 천천히 안전하게 다니는 겁니다.

 

도로 위에서 자신감을 내세우는 것은 참아주시고

 

도로 흐름에 방해되지 않을 정도로 서행하여 서로 배려하는 안전 운전 합시다. :)

 

 

 

 

 

 

댓글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Total
Today
Yesterday
링크
«   2025/02   »
1
2 3 4 5 6 7 8
9 10 11 12 13 14 15
16 17 18 19 20 21 22
23 24 25 26 27 28
글 보관함